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세계 질서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 좀 더 노골적으로 표현하자면 미국과 중국이 '너는 누구편이냐' 선택을 강요하는 실정입니다. <br> <br>두 강대국 사이에서 그때 그때 전략적으로 처신하며 줄타기를 하던 국가들이 이제는 본격적인 줄서기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우리 외교 전략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아보입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 권갑구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시위대] <br>“집으로 돌아가라! 돌아가라!” <br> <br> 현수막과 깃발을 든 사람들이 필리핀 주재 중국 대사관 앞에서 규탄 시위를 벌였습니다. <br> <br> 중국 대사가 대만과 가까운 루손섬 등 4곳을 미국에 군사기지로 제공하기로 한 필리핀 정부를 비난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 최근 필리핀과 미국은 남중국해에서 2주 넘게 역대 최대 규모로 합동 훈련을 벌였고, 미국은 필리핀에 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 <br><br> 중국은 불쾌함을 숨기지 않았지만, <br> <br>[왕원빈 / 중국 외교부 대변인(지난 12일)] <br>”미국과 필리핀의 (군사) 공동성명에 대해 깊은 우려와 불만족을 표합니다.“ <br> <br> 필리핀에 급파된 외교부장이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을 만나 달래기도 나섰습니다. <br> <br>[친강 / 중국 외교부장(지난 22일)] <br>“양국은 바다를 맞댄 가까운 이웃입니다. 천 년의 우정을 갖고 있습니다.” <br> <br> 친중 노선을 표방하던 두테르테 전 대통령이 물러나고 마르코스 정부가 집권하자 선명한 친미 노선을 걷고 있습니다. <br> <br> 반면 라오스는 중국과 더 가까워졌습니다. <br> <br>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으로 최근 개통된 중국-라오스 여객 고속철도가 인적, 경제적 교류를 촉진하고 있습니다. <br><br>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 속에서 동남아 국가들은 양쪽을 자극하지 않는 '전략적 모호성'으로 실리를 취해왔습니다. <br> <br> 그러나 군부 독재가 들어선 미얀마는 인권을 중시하는 미국에 맞서 중국과 연대를 강화하고 있고 경제 발전을 도모하는 베트남은 중국해 갈등으로 친미로 돌아섰습니다.<br> <br>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총리는 세 번째 임기를 시작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기 위해 가장 먼저 중국으로 달려갔습니다. <br><br> 화교 인구가 많고 무역 의존도도 높아 중국이 내미는 손을 더욱 굳건히 잡았습니다. <br><br>[안와르 이브라힘 / 말레이시아 총리(지난 8일)] <br>“대만 문제와 관련해서 우리 정부는 '하나의 중국' 정책을 지지합니다. 우리가 아는 한, 중국은 하나입니다.” <br> <br> 중국과의 경제협력, 북핵 위협에 대응한 미국과의 안보협력 사이에서 우리나라도 항상 선택을 강요받는 입장이었습니다. <br> <br>[위성락 / 전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] <br>“4강에 둘러싸여 있는 나라의 외교고 그 속에서 비핵 평화 번영 통일을 추구해야 하기 때문에 미중러에 대처할 수 있는 통합되고 조율된 정책을 가지고 (대처해야 합니다.)” <br> <br> 팬데믹 이후 미중 기술 패권 전쟁과 대만을 둘러싼 대치 구도가 선명해진 아시아. <br> <br> 각국은 국익에 따른 이합집산, 각자도생의 길을 모색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 세계를 보다, 권갑구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이승은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ichannela.com